|
계명대 교수 저서 9종, ‘2025 세종도서’ 선정
|
|
- 학술(총류):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근대 문명 전환기 한국학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융합’
- 학술(사회과학)
김민숙(국제통상학과) ‘글로벌 공급망과 ESG’
허경미(경찰행정학과) ‘범죄와 도덕적 가치’
최종렬(사회학과) ‘사회학: 확실성 추구와의 투쟁’
한병진(정치외교학과) ‘시민병법: 행동과학으로 알아채는 현실주의적 올바름’
랄프 아놀드 하베르츠(국제관계학과) ‘신사회계약’
박승현(일본어일본학과) ‘재난공동체 일본: 초고령·재난 사회에서 돌봄과 유대의 재편’
이진희(유아교육과) ‘학문을 횡단하는 연구자를 위한 글로서리’
- 교양(기술과학): 신채기(회화과) ‘100세+ 건강 비밀’
|

계명대학교 교수들의 저서 9종이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세종도서’에 선정됐다.
세종도서 지원사업은 매년 학술적·공익적 가치가 높은 도서를 선정해 전국 공공도서관 등에 보급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2024년 6월부터 2025년 4월까지 국내에서 초판 발행된 학술도서를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됐다.
세종도서는 학술과 교양 부문으로 나뉘며, 올해 세종도서 지원사업에는 총 6,917종이 접수돼, 학술 353종·교양 423종 등 776종이 최종 선정됐다. 계명대에서는 학술과 교양 부문에서 총 9종이 포함됐다.
학술(총류) 부문에는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장요한 외 6명)의 ‘근대 문명 전환기 한국학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융합’(계명대학교출판부, 304쪽, 31,000원)이 선정됐다. 이 책은 대한제국기(1897~1910)를 전후한 근대 문명 전환기 속에서 한국의 전통사상과 기독교 사상이 어떻게 융합되고 갈등했는지를 탐구한다.
학술(사회과학) 부문에는 일곱 권이 선정됐다.
김민숙 교수(국제통상학과)의 ‘글로벌 공급망과 ESG’(문우사, 400쪽, 26,000원)는 ESG와 글로벌 공급망을 정치경제학, 법률, 공학, 광물학,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며, 최신 자료를 활용해 전반적인 구조와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14장으로 구성되어 각 분야를 폭넓게 다루며, ESG와 글로벌 공급망의 실제적 의미를 탐구한다.
허경미 교수(경찰행정학과)의 ‘범죄와 도덕적 가치’(박영사, 344쪽, 23,000원)는 도덕과 범죄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며,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윤리의식과 법적 정의의 충돌을 분석한다. 범죄를 단순히 법 위반 행위가 아닌 사회적 가치 판단의 결과로 바라보며, 윤리와 법, 도덕과 정의가 교차하는 지점을 다층적으로 조명했다.
최종렬 교수(사회학과)의 ‘사회학: 확실성 추구와의 투쟁’(박영사, 364쪽, 22,000원)은 사회학이 과학·도덕학·미학의 세 패러다임 속에서 어떤 지식체계를 형성해왔는지를 분석한다. 지식의 불확실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간 이해의 길을 모색하는 학문적 시도를 보여주며, 기존 사회학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담았다.
한병진 교수(정치외교학과)의 ‘시민병법: 행동과학으로 알아채는 현실주의적 올바름’(계명대학교출판부, 215쪽, 19,000원)은 사회과학 고전과 현대 행동과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실천적 윤리를 분석한다. 인간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탐구하며, 현실 속에서 ‘올바름’을 구현하기 위한 시민적 덕성과 합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랄프 아놀드 하베르츠(Ralf Arnold Havertz) 교수(국제관계학과) 외 7인이 집필한 ‘신사회계약’(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324쪽, 24,000원)도 사회과학 부문에 선정됐다. 이 책은 유럽사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는 ‘사회계약’의 개념을 새롭게 해석한다.
박승현 교수(일본어일본학과) 외 6인이 공저한 ‘재난공동체 일본: 초고령·재난 사회에서 돌봄과 유대의 재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56쪽, 32,000원)은 초고령화와 잦은 자연재해 속에서 공동체의 복원력을 다룬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사회의 회복과 연대의 의미를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한 연구서다.
이진희 교수(유아교육과) 외 27인이 집필한 ‘학문을 횡단하는 연구자를 위한 글로서리: 후기질적 연구, 신물질론,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양서원, 453쪽, 20,000원)은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 연구의 핵심 개념을 정리한 용어집이다. 후기질적 연구와 포스트휴머니즘 등 현대 학문 담론의 주요 키워드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연구 도구로서의 방향을 제시한다.
교양(기술과학) 부문에는 신채기 교수(회화과)가 번역한 ‘100세+ 건강 비밀’(계명대학교출판부, 224쪽, 15,000원)이 포함됐다. 이 책은 장수시대를 맞은 현대인들에게 건강 관리 지침을 제공하며, 영양·운동·정신건강 등 다양한 영역을 통합적으로 다룬다.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을 제공한다.
선정 도서는 도서관이 희망 도서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으로 보급된다. 내년 초부터 국내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대학도서관 등 각급 도서관과 사회복지시설에 약 31만 권이 배포되며, 해외문화원과 세종학당 등에도 해외 보급이 강화될 예정이다.
2025년 세종도서 선정 도서 목록과 선정평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누리집과 세종도서 온라인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515/ 2025_11_05 촬영/ 편집/ 대외홍보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