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연구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 전화 : 053) 580-5194
- 위치 : 영암관 3층 333호
- FAX : 053) 580-5194
- 근무시간 : 평일 08:30~17:30
-
소 장 : 유원기 ☎ 580-5061
-
설립목적
- 인문과학연구소는 문학, 역사, 철학의 영역에서 축적된 동서양의 지식과 지혜를 재해석함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인문학적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바람직한 인간성을 실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문학의 위기이면서 오히려 인문학을 더욱 필요로 하는 이 시대에 올바른 가치와 삶의 자세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인간다운 삶을 회복하고자 하며, 그 방법으로 현대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민감하게 살펴, 이에 대한 인문학적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근래에는 환경과 생태문제가 전지구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문학적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소는 생태문제를 인문학의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 모색을 중요한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세부목적을 설정하고 있다.
첫째, 본 연구소는 문학, 사학, 철학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인문학적 가치를 창출한다. 둘째, 본 연구소는 현대가 처한 다양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올바른 인문생태 현장이 구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본 연구소는 인문생태적 삶에 대한 이론적 해명과 이것의 세계화를 위한 학술활동을 강화하고자 한다. 넷째, 본 연구소는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는 인문학 연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한 해당 분야 교수역량을 극대화한다. 다섯째, 본 연구소는 인문학의 대외적 개방화가 요구되는 현실에 부응하여 인문학적 소양의 대중화를 위해 지역의 청소년들과 시민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각종 사업에 적극 참여한다.
본 연구소의 주요사업으로는 학술지 및 단행본 발간, 학술 심포지엄 및 초청 강연회 개최, 인문학 인접분야와의 학제간 공동연구 진작, 타 대학 연구소와의 학술자료교환 및 공동학술대회 개최, 지역내 중고등학교의 학부모 및 학생들을 위한 특별강좌와 시민대학 강좌 지원 등이 있다.
주요사업
- - 학술지 발간 : 현재 『동서인문학』를 정기 간행물로 발간하고 있으며, 기존의 인문학에 대한 연구성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논문들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문학과 사학, 사학과 철학, 철학과 문학 사이의 연계작업을 통해 학제간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 소규모 연구회 운영: 2005년부터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중요한 인문학적 주제들에 대한 담론의 장을 열어왔던 브라운백 세미나를 현재에는 두 개의 소규모 연구회, 고전읽기 세미나와 불교의 인문학적 이해 세미나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 - 인문학 인접분야와의 학제간 공동연구 진작 : 영상시대의 도래와 함께 인류문화의 중심이 문자에서 영상으로 옮겨가고 있는 현실에서 미디어 연구는 학제간의 경계를 이미 넘어서고 있다. 이 분야에서의 연구는 이미 문학과 사회학, 커뮤니케이션 학문과 철학 등의 공동작업을 요구한다. 그래서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인문학 연구를 위해 매년 부설연구소 과제를 선정 지원하고 있다.
- - 학술 심포지엄 및 초청 강연회 : 인문학 자체 내의 공동작업을 유도하거나, 인문학 인접분야와의 학제간 연구를 진작시킬 수 있는 학술 심포지엄 및 초청 강연회를 개최함으로써 상기의 목표를 수행하고 있다.
- - MOU 협정 연구소 교류 학술대회: 2012년부터 한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와 매년 계명대·한남대 인문과학연구소 공동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 - 지역내 중고등학교의 학부모 및 학생들을 위한 특별강좌 : 서재중학교 학모교육대학과 다사중학교 학부모와 학생들을 위한 특별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 - 시민대학 강좌 운영 : 2013년부터 시민대학 솔열린대학과 책읽기마을 강좌를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053) 580-5114
Copyright by Keimyu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E-mail comments to Master